주석은 문서를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하는것이라고 할수가 있으며 파이썬에서의 주석도 마찮가지로 코딩작업을 할떄 사용자가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서 주석을 추가하게 됩니다.
파이썬에서 주석처리는 코딩 #주석 으로 처리가 되며 코딩 뒤에 ‘ # ‘ 을 추가하여 주석처리를 합니다. 또는 임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코드 앞에 # 처리를 하여 실행이 안되게 할수가 있습니다.
아래의 예제를 살펴보게되면 # user intput password 는 코딩을 설명하는 주석 #real_kim = “kim” 을 실행코딩에서 주석으로 변환을 하여 실행결과에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.
주석처리와는 다르게 ”’ 주석 예제 ”’ 의 경우에는 파이썬에서 주석이라고 할수는 없지만 임의대로 실행결과에 나타나지 않으며 문자열로 str = 이라는 변수를 추가한다면 문자열로 실행을 하게 됩니다.


위처럼 파이썬에서는 주석은 # 으로 처리를 한다고 기억을 하시고, 나중에 코딩작업을 할때에 유지보수를 위해서 설명이 필요한 코드는 주석처리를 하여 다음에 유지보수때 유용하게 사용할수가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