논리 연산자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만큼 이미 다른언어를 배운 사용자라면 좀더 쉽게 이해할수가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용자라면 이해를 하는데 약간이 어려움이 있을수도 있습니다.
논리연산자는 크게 and , or , not 3가지를 들수가 있으며 왼쪽과 오른쪽을 결합해서 만드는것을 말하기도 하며 and 는 양쪽다 true 이면 true 가 되며, or 은 양쪽중에 하나만 True 이면 True가 됩니다.
예제를 살펴보면 print(True and True) 를 실행하게되면 True 가 되고, print(True and False) 를 실행하면 False 가 되며, print(True or False) 를 실행하면 True 가 됩니다.


조건문의 논리연산자를 응용한 예제를 살펴보면 이전에 조건문으로 로그인 기능을 불러와보면 if_str = input(“아이디를 입력해주세요.”), real_admin = “admin” , real_kim = “kim” 를 입력하였습니다.
논리연산자를 추가하여 if real_admin = in_str or real_kim == in_str: , print(“hello!”) , else: print(“who are yor?”) 를 실행해보면 admin 또는 kim 을 입력하면 hello! 가 실행이되면 그렇지 않다면 who are you? 가 실행되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.


복잡해진 조건문을 논리연산자를 통해서 좀더 단순하게 프로그래밍을 할수가 있습니다. 이렇게 로그인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아이디나 비번을 추가하여 만들수가 있습니다.